여행정보

안동의 전통문화를 지키고 새롭게 재창조하는 안동문화원

안동의 먹거리

안동의 먹거리

전통문화의 멋과 맛이 그대로 삶아 숨쉬는 도시, 안동의 먹거리 안내입니다.

헛제사밥

최홍년의 <해동죽지>(1925년)에 의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제사를 지낸 음식으로 비빔밥을 만들어 먹는 풍습이 있다. 그러나 평상시에는 제사 밥을 먹지 못하므로 제사음식과 같은 재료를 마련하여 비빔밥을 먹는데 이것을 헛제사밥이라고 합니다. 안동지역에서는 유교문화의 본 고장으로 의례 중 제사를 더욱 숭상하여 왔던 것으로 여겨져 다른 지역과 다르게 헛제사밥이 유명합니다.
헛제사밥의 유래는 두 가지 설이 있습니다. 유명한 서원이 많은 이곳 유생들이 쌀이 귀한 시절 제사음식을 차려놓고 축과 제문을 지어 풍류를 즐기며 거짓으로 제사를 지낸 후 제수음식을 먹었다는 설, 제사를 지낼 수 없는 상민들이 쌀밥이 먹고 싶어 그냥 헛제사음식을 만들어 먹은 데서 시작했다는 설 등이 있습니다.

안동간고등어 정식

옛날 교통이 발달되지 않았던 시절 안동지방에서는 영남 내륙지역에 해산물 공급을 위해 동해안에서 등짐꾼에 의하여 이동되어져 임동챗거리장터에서 생선의 부패방지를 위하여 왕소금으로 절여서 우리밥상에 올리게 된 안동의 전통 간고등어이며 그 맛이 일품이라 하여 오늘까지 안동지방의 특미로 자리 잡아온 간고등어를 일컫는 말입니다. 얼간재비는 신선한 고등어에 간이 적당하다는 순수한 우리말이며 안동의 ‘방언’입니다.

안동 찜닭

우리 지역의 찜닭은 다른 지역의 야채찜닭과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타 지역의 찜닭요리는 다소 텁텁한 맛이 있거나 기름을 너무 많이 넣거나, 고춧가루를 넣기도 하는데 이에 반해 우리지역의 찜닭요리는 매콤한 맛과 달콤하면서도 간간한 맛이 조화를 이루어 쉽게 물리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더욱이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못한 학생들의 한 끼 식사로 대용될 만큼 양이 많습니다.
남학생들은 찜닭 한 마리를 시키면 3~4명이 충분히 먹을 수 있고, 여학생들은 4~5명까지 먹을 수 있도록 양이 충분합니다. 안동찜닭집을 주로 찾는 주 고객은 학생들이 가장 많고, 일반대중들에게도 인기가 있는 메뉴 중의 하나라고 합니다.

안동한우

맑고 깨끗한 자연환경에서 키운 안동한우는 육질 내 지방이 고르게 분포되어 특유한 맛과 향이 있습니다. 안동 한우고기의 참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각종 나물과 김치, 제철 음식으로 풍성한 식탁이 꾸며집니다.